|
|
 |
|
 |
 |
 |
|
 |
|
직업 |
: |
공군
|
출생일 |
: |
1956년 06월
|
학력 |
: |
퍼듀대학교 항공우주공학 학사 |
출생지 |
: |
미국 |
|
|
|
 |
 |
 |
|
 |
|
다른 표기 |
|
Mark Polanski |
|
|
|
|
|
|
|
소속 |
|
항공우주국 (NASA) 근무 |
|
|
|
|
|
|
|
특이사항 |
|
한인 혼열인 우주왕복선 선장 |
|
|
|
|
|
|
 |
|
|
|
 |
|
|
경력사항 |
 |
 |
 |
|
항공우주국 (NASA) 근무
1980년 1월 ~ 1992년 미국 공군 조종사
2001년 2월 아틀란티스호 (STS-98) 선장
2006년 12월 디스커버리호 (STS-116) 선장 |
|
|
 |
|
 |
|
|
관련사항 |
 |
 |
 |
|
폴란스키의 외할머니가 북한 평양에서 출생한 인물이라고 보도했다. 외할머니는 1900년쯤 가족과 함께 호놀룰루로 이주해 폴란스키의 어머니를, 어머니는 56년 뉴저지주에서 마크 폴란스키를 낳았다.
아이스하키와 스키 등 스포츠를 좋아했던 폴란스키는 13살때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을 지켜보며 우주선을 타겠다는 꿈을 키웠다. 그는 퍼듀대에 진학해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했으며 80년 1월 공군에 입대해 조종사로 복무했다. 공군에서 폴란스키는 30여종의 비행기로 5,000시간 이상을 비행했고 92년 퇴역한 뒤 항공우주국(NASA)에 들어갔다.
존슨우주센터에서 우주왕복선 착륙 기술을 지도하던 폴란스키는 우주선 승무원의 첫 도전에는 실패했지만 96년 합격, 이후 2년간 우주왕복선 이·착륙 지원 역할을 했다. 2001년 2월9일 처음으로 STS-98 애틀랜티스호에 올랐으며 귀환일인 2월20일까지 309시간을 우주에서 보냈다. |
|
|
 |
|
 |
|
|
|